발열 ‘나노’ 자석입자로 암 퇴치법 개발
[중앙일보] 입력 2011.06.27 03:00 / 수정 2011.06.27 16:01연세대 천진우·박국인 교수
코발트·망간 산화철로 만든 입자
암 세포에 주사 → 자기장 걸어 발열
18일간 쥐실험, 암세포 거의 죽어
암 세포 안에서 열(熱)을 발산해 암 세포만 죽이는 극미세 자석 입자가 개발됐다.
암 세포가 섭씨 42도 이상의 열에 약하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.
연세대 화학과 천진우 교수와 의과대학 박국인 교수는 두 가지 자석(코발트산화철과 망간산화철)으로 만든 암 치료용 극미세 자석 입자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.
연구 결과는 이날 영국 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의 온라인판에 발표됐다.
암세포에 열을 가해 치료하는 온열요법은 몇 가지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. 천 교수의 극미세 자석입자는 유사한 기존의 입자보다 30% 이상 열을 많이 발생시킨다.
천 교수가 만든 입자는 15㎚(나노미터, 1 나노미터는 10억 분의 1m) 크기로 눈에 보이지도 않는다.
암세포에 열을 가해 치료하는 온열요법은 몇 가지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. 천 교수의 극미세 자석입자는 유사한 기존의 입자보다 30% 이상 열을 많이 발생시킨다.
천 교수가 만든 입자는 15㎚(나노미터, 1 나노미터는 10억 분의 1m) 크기로 눈에 보이지도 않는다.
연구진은 이 입자로 암에 걸린 쥐를 치료했다. 주사기로 쥐의 암 세포에 주입한 뒤 몸 밖에서 교류 자기장을 걸어 자석입자에서 열을 발생시켰다.
극미세 자석입자는 코발트산화철로 핵을 만든 뒤 망간산화철을 코팅한 ‘이중 자석’으로, 자기장을 걸어주면 입자의 두 극성이 교차하면서 열이 난다.
입자가 몸속 15㎝ 안에 있어도 자기장 에너지의 99%를 입자에 전달할 수 있다.
암에 걸린 쥐를 18일 동안 이런 방식으로 치료한 결과 암 세포가 거의 사라진 것으로 확인됐다.
암에 걸린 쥐를 18일 동안 이런 방식으로 치료한 결과 암 세포가 거의 사라진 것으로 확인됐다.
반면 비교를 위해 같은 기간 동안 기존 항암제인 ‘독소루비신’으로 치료한 쥐의 암세포는 상당 부분 남아 있었다.
천 교수는 “극미세 자석 입자 치료법은 기존 암 치료법에 비해 부작용이 거의 없는 장점도 갖고 있다”고 말했다.
박방주 과학전문기자
'스크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목소리 성형시대(조선일보) (0) | 2011.07.07 |
---|---|
[6·25 61주년 기획] 1950.6.25~28 가장 길고 처절했던 역사의 나흘-중앙일보 (0) | 2011.06.27 |
솟을지붕, 팔작지붕, 우진각지붕, 맞배지붕 (0) | 2011.06.24 |
이웃블로그 방명록에서 가져온 재미있는 그림과 허전한 글 (0) | 2011.06.17 |
천상의 박정희, 지상의 박지만-중앙일보에서 (0) | 2011.06.13 |